RP2040-Matrix 귀여운 보드를 발견했다!

인터넷에 귀여운 보드를 발견했다. 라즈베리파이 피코 (RP2040 Pico)에 LED 25개를 박아놓은 귀여운 보드.

당장 사고 싶었다. Waveshare에선 항상 재미있는걸 만든다. ㅎ

16번 핀에 WS2812 RGB핀이 붙었다고 한다.

  성능

듀얼 코어 Arm Cortex M0+ 프로세서, 최대 133MHz

264KB SRAM 및 2MB 온보드 플래시 메모리

온보드 5 × 5 RGB LED 매트릭스.

USB 1.1

저전력 절전 및 휴면 모드

20개의 다기능 GPIO 핀.

2 × SPI, 2 × I2C, 2 × UART, 4 × 12비트 ADC, 16 × 제어 가능 PWM 채널.

클 및 타이머 온칩.

온도 센서

칩 내 가속 부동 소수점 라이브러리.

주변 장치 지원을 위한 8개의 프로그래밍 가능 I/O(PIO)

 

  보드 URL 설정

보드 URL

https://github.com/earlephilhower/arduino-pico/releases/download/global/package_rp2040_index.json

 

ESP8266 보드를 가지고 있을 경우:

https://dl.espressif.com/dl/package_esp32_index.json,https://github.com/earlephilhower/arduino-pico/releases/download/global/package_rp2040_index.json

 


 
 보드 설치

Raspberry Pi Pico/RP2040 설치하면 된다.

설치 후

- 보드는 도구 → Raspberry Pi Pico/RP2040 → Raspberry Pi Pico 를 선택한다.

- 포트는 USB 연결 후 해당 포트를 선택해준다.

 

  LED 라이브러리 설치

테스트로 FastLed 설치를 한다.

맘에 드는거 있으면 그걸로 한다.

 

  LED 예제

파일 → 예제 FastLed FirstLight 를 불러왔다.

뭔가 처음이라 첫 불이라고 하니 골랐다. 다른 이유는 없다.

 

  LED 예제 설정

#include <FastLED.h>
#define NUM_LEDS 25
#define DATA_PIN 16
CRGB leds[NUM_LEDS];
#define BRIGHTNESS  5

void setup() {

    delay(2000);
    FastLED.addLeds<WS2812, DATA_PIN, RGB>(leds, NUM_LEDS);
    FastLED.setBrightness( BRIGHTNESS );
}

void loop() {

   for(int whiteLed = 0; whiteLed < NUM_LEDS; whiteLed = whiteLed + 1) {
      // Turn our current led on to white, then show the leds
      leds[whiteLed] = CRGB::White;
      // CRGB(빨강,녹색,파랑) 0 ~ 255 까지 

      // Show the leds (only one of which is set to white, from above)
      FastLED.show();

      // Wait a little bit
      delay(100);

      // Turn our current led back to black for the next loop around
      leds[whiteLed] = CRGB::Black;
   }
}

 

○ LED개수는 5*5 이니 25개로 한다.

WS2812가 친절히 예제에 들어있다.

DATA_PIN 은 스펙에서 봤듯이 16번 핀

BRIGHTNESS는 소스에 없는데 내가 추가했다. 여러분도 없이 한번 해봤으면 좋겠다. 없으면 나처럼 이렇게 된다..

 


 

'Arduino'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eeduino XIAO 를 아두이노 IDE 로 프로그래밍 하기  (0) 2023.08.16

  Seeeduino XIAO 

작고 귀엽게 생긴 보드를 발견하고 얼마전에 구입했다.

성능보다는 귀여워서 ㅎㅎ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볼 수 있다.

https://wiki.seeedstudio.com/Seeeduino-XIAO/

   스펙

 

   핀맵

 

   아두이노 IDE 보드 설정 방법

 

https://files.seeedstudio.com/arduino/package_seeeduino_boards_index.json

위 주소를 복사해서 추가 보드 관리자에 넣어준다.

   보드 매니저에 Seeed SAMD를 넣고 검색 후 설치해 준다.

 

작고 귀엽다 ㅎㅎ

 

 

'Arduino'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2040-Matrix (Waveshare) 아두이노 설정 및 예제  (0) 2023.09.04

 

  vi /etc/samba/smb.conf

 

  • 캐릭터셋
            unix charset = UTF-8
            dos charset = CP949
  • 긴 파일명이 깨지는것 방지
             mangled names = no 

 

 

  /etc/init.d/smbd restart

옛날 사람이라 이렇게 항상 명령어를 내린다. ㅎㅎ (systemctl restart smbd)

재시작하면 긴 파일명이 보니다.

 

참 별것도 아닌데 사람을 귀찮게 한다. ㅎㅎ

  raspi-config

평소 했던데로 카메라를 셋팅했다.

Bullseye에선 뭔가 지원이 안된다는 메세지 좀 껄끄러운 메세지....

뭐 항상 이렇게 했으니 계속 해본다.

 

  raspistill -o test.jpg
-bash: raspistill: 명령어를 찾을 수 없음

-bash: raspivid: 명령어를 찾을 수 없음

 

뭐여?? 내가 너무 오랫동안 안했나?? 왜 명령어가 없어???

apt 로 설치를 해보려 하지만 패키지가 없단다??뭐여??

 

그래서 찾아보니 Bullseye에서는 카메라 제어를 위해 Raspicam 대신 libcamera 라이브러리를 지원하고
Raspicam에서 지원하던 raspistill, raspivid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다고 한다.

제길...

 

  libcamera-jpeg -o test.jpg
Preview window unavailable
[0:00:42.944676805] [696]  INFO Camera camera_manager.cpp:297 libcamera v0.0.5+83-bde9b04f
ERROR: *** no cameras available ***

 

또 뭐여?? 되야할것 아니냐?? 나한테 왜 이러냐?

 

  vcgencmd get_camera

supported=1 detected=1, libcamera interfaces=0

 

vcgencmd 명령어로 카메라가 붙어 있나 본다.

뭐여??? 카메라가 붙어 있는 것 같은데????

왜 안될까??? 맞다... libcamera 이것이 0이네..

 

  카메라 모듈별 설정 /boot/config.txt

 

내가 짭을 샀나?? 아니다. 분명 아래 지원되는 카메라를 샀다.

라즈베리파이는 아래 카메라 모듈을 지원한다.

그런데 내가 지원이 안되는 카메라를 샀나?? 스펙에 보면 OV5647 모듈이라고 했는데...

분명 목록에 있다.

V1 camera (OV5647) dtoverlay=ov5647
V2 camera (IMX219) dtoverlay=imx219
HQ camera (IMX477) dtoverlay=imx477
GS camera (IMX296) dtoverlay=imx296
Camera Module 3 (IMX708) dtoverlay=imx708
IMX290 and IMX327 dtoverlay=imx290,clock-frequency=74250000 or dtoverlay=imx290,clock-frequency=37125000
(both modules share the imx290 kernel driver; please refer to instructions from the module
vendor for the correct frequency)
IMX378 dtoverlay=imx378
OV9281 dtoverlay=ov9281

 

  vi /boot/config.txt

 

# Automatically load overlays for detected cameras
#start_x=1
start_x=1
camera_auto_detect=1

 

위내용을 추가하란다.

config.txt 수정 후 재부팅한다.

 

 

자 이제 카메라 잡혔나 봅니다.

> vcgencmd get_camera
supported=1 detected=0, libcamera interfaces=1

에고... 오히려 detected가 안되는디??

대신  libcamera가 살아났다!!!!

 

v4l2-ctl --list-devices

장치에도 붙었다.

 

> libcamera-jpeg -o test.jpg

 

오~~~ 된다.

이상하네... detected가 없어도 되는건가??

 

  libcamera-jpeg -t 1 --width 640 --height 480 -o test2.jpg 

 

이미지 크기 등을 지정해서 저정해본다.

 

성공하면 다들 이렇게 천정화면 보여주더라.

나도 성공했는데 이렇게 천정이 찍혀있더라.

 

신난다.

 

  libcamera 명령어 사용 방법

  • libcamera-hello  : 카메라 미리보기를 실행해 화면에 표시하는 간단한 카메라용 "hello world" 프로그램입니다.
  • libcamera-jpeg  미리보기 창을 실행한 다음 고해상도 정지 이미지를 캡처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 libcamera-still  raspistill의 다양한 기능을 모방한 더 복잡한 스틸 이미지 캡처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 libcamera-still -e png -o test.png
    • libcamera-still -e bmp -o test.bmp
  • libcamera-vid  비디오 영상을 캡처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 libcamera-vid -t 10000 -o test.h264
      녹화 시간 및 저장할 파일명 등은 명령어의 옵션을 조절하면 변경 가능합니다.
      (-t 옵션은 ms이므로 값 1000당 1초입니다.)
  • libcamera-raw  센서에서 직접 원시(처리되지 않은 Bayer) 프레임을 캡처하기 위한 기본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공식 문서를 확인하자.

여기까지 읽었다면 libcamera 영상이나 추가 정보가 필요하겠죠?

여기에서 최신 정보를 참조합시다.

https://www.raspberrypi.com/documentation/computers/camera_software.html

 

Raspberry Pi Documentation - Camera software

The official documentation for Raspberry Pi computers and microcontrollers

www.raspberrypi.com

 

   다음 주소를 클릭하세요.

 

https://anydesk.com/ko/downloads/windows?dv=win_exe

AnyDesk.exe
3.85MB

 

   저장을 누릅니다. 크롬과 엣지 각각 다운로드 창이 다릅니다.

 

크롬에서 받을 때
엣지에서 받을 때

   그 빨간 아이콘 AnyDesk.exe를 마우스로 클릭 하거나 열기를 눌러 실행합니다.

설치와 실행이 있으면 실행을 선택합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상대방에게 저 빨간 숫자를 불러줍니다.

   잠시 후 승인 창이 뜨면 눌러줍니다.

HardDiskValidator_1.1.2.zip
0.32MB

  제작자 블로그
https://github.com/TalAloni/HardDiskValidator

http://m.majorgeeks.com/files/details/hard_disk_validator.html

 

화면이  다 나오진 않지만 베드섹터 치료하는데는 문제 없다.

무료 중에서 제일 간단해서 자주 씀.

2번째 옵션으로 선택해서 실행

 

  지난버전 (이건 화면이 덜 잘린다)

 

HardDiskValidator_v1.0.7.zip
0.11MB
HardDiskValidator_v1.0.8.zip
0.13MB
HardDiskValidator_v1.0.9.zip
0.15MB
HardDiskValidator_v1.1.1.zip
0.29MB

  DRevitalize

다른 프로그램인데 한글은 좀 깨져본인다. 영문으로 해보자.

 

 

DRevitalize 2.42 EN.exe
0.13MB
DRevitalize 2.42 KR.exe
0.04MB

  HDD Low Level Format Tool 4.01

로우레벨로 밀어주는 방법도 있다.

난 치료만 하고 하지 않았다.

HDDLLFsetup.4.40.exe
0.74MB

 

요즘 삼성 특정 주차 램 이상때문에 우연찮게 사용한 프로그램 입니다. 알수 없는 블루스크린 이나,

메모리 문제가 느껴지신다면 테스트해보시면 됩니다.

 

TestMem5라는 프로그램은 seji라는 사람이 개발, 배포 공식 홈페이지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TM5(TestMem5) 공식 홈페이지 
https://testmem.tz.ru/testmem5.htm

tm5.zip
0.02MB

저기를 누르면 받을 수 있어요.

번역으로 보니 클릭 이네요..ㅎㅎ 누르면 rar로 되어 있는데 받아서 다시 압축했어요. 아직까지 버전업은 없네요.

 

그냥 실행하면 저런 메세지를 냅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주세요.

 

프로그램 설치된 폴더의 bin 폴더를 보시면 MT.cfg파일 있습니다. 수정하시면 테스트 횟수나 기타 정보를 바꾸실 수 있어요.

이렇게 문제 없으시길 기대합니다!!!

내가한 삽질을 누군가는 덜하겠죠?

 

자 설치해봅시다.

Mariadb 설치

https://mariadb.org/download/

다운받은 파일을 쭉쭉쭉 설치

 

관리 툴까지 포함이구나 ㅎ

 

- Location은 관리가 편한 폴더로 바꾸자.

- root비밀번호 변경

 

기본값 체크해보고 다음 다음.....

금방이네..

 

 

기본 포함된 HeidiSQL 실행해서 접속해보자.

 

설치할때 넣었던 비밀번호 넣고 열기.

여기까지는 거의 잘 됩니다.

 

 

이게 PHP에서 MariaDB에 접속하기위해 셋팅합니다.

기본 설치된 위쳉 php.ini-deleopment 파일을 php.ini로 바꿔줍니다.

※Windows폴더로 옮길 필요 없습니다. php8이 잘 인식합니다.

php.ini 파일을 열어봅니다.

그리고 다음 문구를 추가합니다.

 

extension_dir = "C:\php-8.2.7\ext"

 

자신이 설치한 php 위치를 설정해주고

 

extension=curl
extension=gd2
extension=mbstring
extension=mysql
extension=pdo_mysql

넣어주고 이런거 등등등 자신에게 필요한거 주석 풀어준다.

당연히 ext폴더에 해당 dll이 있어야 겠죠?

설정이 마무리 되면 저장하고

IIS서비스를 다시 시작해 줍니다.

 

DB에 사용자 추가해주고

 

CREATE DATABASE searchsupport;
CREATE USER 'searchsupport'@'localhost' IDENTIFIED BY 'searchsupport';
GRANT ALL PRIVILEGES ON searchsupport.* TO 'searchsupport'@'localhost';
FLUSH PRIVILEGES;

 

 

DB잘 되는지 테스트 PHP 샘플 프로그램 복사해서 php로 저장하세요.

 

 

<?php

// MariaDB 연결 정보
$host = 'localhost';
$port = 3306;
$database = 'mysql';
$username = 'searchsupport';
$password = 'searchsupport';

try {
    // MariaDB에 접속
    $connection = new PDO("mysql:host=$host;port=$port;dbname=$database", $username, $password);

    // 접속 성공 시 추가 작업 수행
    echo "MariaDB에 성공적으로 접속하였습니다.";

    // 접속 종료
    $connection = null;
} catch (PDOException $e) {
    // 접속 실패 시 에러 메시지 출력
    echo "MariaDB 접속 오류: " . $e->getMessage();
}

?>

 

 

오늘도 이렇게 개삽질을 마무리 한다.

 

IIS에 PHP8을 올리게 됐다. 리눅스 서버가 없어서 ㅠㅠ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 삭제 

1. World Wide Web서비스 체크하고 열어서 아래 항목 체크

- .NET 확장성 3.5 체크 

- CGI 체크

- ISAPI 필터, 확장 꼭! 체크

 

2. 웹 관리 도구 체크

- IIS 관리 콘솔 체크

 

그리고 뭐 기타 필요한것 있으면 체크 FTP같은거

 

 

PHP를 받아보자.

 

https://windows.php.net/download#php-8.2

 

이 글을 쓸땐 8.2 이었음.

 

그런데 Non Thread Safe 와 Thread Safe 버전이 있음 궁금하지 않은가? 저게 뭘가?

 

그래 Non Thread Safe가 평소에 내개 하던 코드임을 알았다..

그만 알아보자..

하지만..

Thread Safe로 짜보는것도 재미있을것 같다...

 

참튼... ZIP파일을 받아 적당한곳에 풀자.

처리기 매핑 클릭

모듈 매핑 추가해서 저런식으로 추가한다.

확인 누르고...

 

다시 기본문서 클릭해서

PHP 파일도 추가해준다.

간단한 phpinfo 페이지 만들자.

 

짜짠!!

 

뭐 할것도 없이 잘 나온다. 

 

이제 마리아 DB를 셋팅해보자~ ㅎㅎ

https://searchsupport.tistory.com/entry/윈도우11-IIS-MariaDB-설치

 

윈도우11 IIS + MariaDB 설치

Mariadb 설치 https://mariadb.org/download/ 다운받은 파일을 쭉쭉쭉 설치 관리 툴까지 포함이구나 ㅎ - Location은 관리가 편한 폴더로 바꾸자. - root비밀번호 변경 기본값 체크해보고 다음 다음..... 금방이

searchsupport.tistory.com

 

 

나는 2가지의 문자셋을 가진 DB를 쓰고 있다. US7ASCII, KO16MSWIN949  ㅠㅠ

암튼.. 레지스트리를 변경하는게 귀찮아 간단한 툴을 만들었다.

디지털 서명도 함 ㅎㅎㅎ

LNS_LANG.exe
0.04MB

 

제가 직접 만듬.. 걱정하지 마시고 사용하시길...

알기 쉽게 클릭하면 한 ↔ 영 이렇게 표시했다. 눈에 확 튀게...

말은 거창하지만 그냥 레지스트리의 저 정보를 단순 토글로 변경하는것 뿐입니다.

 

아직도 US7ASCII 과 KO16MSWIN949 문자셋을 쓰는 사람들은 받아서 잘 쓰길 빌께요.

 

혹시라도 이것을 보고 아이디어 있으면 알려주세요.

1. 일단 윈도우 95를 설치한다.

2. VMware Tools 을 설치한다.

3. 하드웨어 를 워크스테이션 5.X으로 바꾼다.

Windows 95 Driver.zip
6.10MB

4. 사운드와 칩셋을 설치한다.

5. 느낌표 있는 조이스틱은 그림처럼 바꾼다.

 

6. 마지막 플로피 드라이브에 느낌표는 Power On to Firmware 로 셋업 화면 들어가서 플로피 드라이브를 2Mb 짜리 하나 생성해준다.

SBPCI_WebDrvsV5_12_01.exe
4.62MB

Internet Explorer 6.0 Service Pack 1.iso (45.5MB)

Internet Explorer 6.0 Service Pack 1.zip
5.28MB
Internet Explorer 6.0 Service Pack 1.z01
10.00MB
Internet Explorer 6.0 Service Pack 1.z02
10.00MB
Internet Explorer 6.0 Service Pack 1.z03
10.00MB
Internet Explorer 6.0 Service Pack 1.z04
10.00MB

  신경안쓰던 25번 LED가 안들어온다. 뭐지??

 

고장인가??

당연한거지만 결론은 사용하는 보드명을 봐주세요. 라즈베리파이 PICO W 로 사용하고 있나 잘보세요.

아무것도 아닌데 계속 개 삽질을 ㅠㅠ

저처럼 arduino Mbed OS RP2040을 쓰고 계셨는지...

비슷한 보드를 선택해도 데이터가 업로드 되므로 저는 보드 선택이 틀린지 몰랐습니다.

25번 LED를 제어해도 불이 안들어와서 알게 됐죠.

혹시나 저같은 사람이 또 있을까봐 올립니다.

라즈베리파이 PICO와 라즈베리파이 PICO W 의 LED 핀 번호가 좀 다릅니다.

그래서 불이 안들어왔어요.

WiFi 모듈 붙으면서 달라졌군요.

 

  기본 보드 매니저에 검색해도 안나오니 보드가 있는 URL 넣어줍니다.

다음 경로를 드레그 해서 복사해주세요.

https://github.com/earlephilhower/arduino-pico/releases/download/global/package_rp2040_index.json

 

첫번째거로 쓰던것 하지만 안됩니다. 사실 별반 차이 없으니 될거라 대충 생각한 나의 자만심...

Raspberry Pi Pico W를 제어하려고 했으니... 계속 개 삽질을 하게 된거죠.

 

  Raspberry Pi Pico/RP2040 을 설치해줍니다.

설치하면 이렇게 친절하게 라즈베리파이 피코 W가 목록에 잘 나옵니다.

 

테스트할 그냥 기본 코드 업로드 해보면 잘 될겁니다.

// the setup function runs once when you press reset or power the board
void setup() {
  // initialize digital pin LED_BUILTIN as an output.
  pinMode(LED_BUILTIN, OUTPUT);
}

// the loop function runs over and over again forever
void loop() {
  digitalWrite(LED_BUILTIN, HIGH);  // turn the LED on (HIGH is the voltage level)
  delay(1000);                      // wait for a second
  digitalWrite(LED_BUILTIN, LOW);   // turn the LED off by making the voltage LOW
  delay(1000);                      // wait for a second
}

혹시....

 

  Thonny에서는 Raspberry Pi Pico 인터프리터로 잡아 놓아도 

 

import machine
import utime

led = machine.Pin("LED", machine.Pin.OUT)

while True:
    led.off()
    utime.sleep(0.1)
    led.on()
    utime.sleep(0.1)

 

이렇게 코드로 돌리면 제어가 됩니다.

 

 

 

1. 시작 > 오른쪽버튼 클릭 > 앱 및 기능 에서 해당 어플을 선택 ... 을 클릭 고급 옵션을 선택한다.

기본적으로 초기화 복구 해보고 안되면 제거 후 해당 어플을 재설치 합니다.

2. 스토어 캐시 초기화

- 시작 > 오른쪽버튼 클릭 > Windows PowerShell(관리자)실행

- WSReset.exe 실행

3. 스토어 어플 재등록

작업 표시줄의 '웹 및 Windows 검색'에 cmd를 입력합니다.
결과에 '명령 프롬프트'가 검색되면 마우스 우 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합니다.
다음 명령을 각각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PowerShell -ExecutionPolicy Unrestricted  엔터
$manifest = (Get-AppxPackage Microsoft.WindowsStore).InstallLocation + '\AppxManifest.xml' ; Add-AppxPackage -DisableDevelopmentMode -Register $manifest 엔터

 

4. Windows 구성요소 저장소에서 파일 손상 여부 확인

작업 표시줄의 '웹 및 Windows 검색'에 cmd를 입력합니다.
결과에 '명령 프롬프트'가 검색되면 마우스 우 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PC에 따라 완료되는 시간이 오래 소요될 수 있습니다.)
이후 다음 명령을 이용하여 시스템 검사를 진행합니다.
sfc /scannow
시스템 파일에 문제가 있는지를 탐색하며, 복구가 가능한 부분은 복구가 진행이 됩니다.
검사가 100% 완료가 되면, 결과 메시지를 확인합니다

하지만, 위 방법은 마이크로 소프트 커뮤니티에 항상 있는거지만 단 한번도 해결이 된적이 없다.

 

5. 스토어를 지우고 다시 깔아보자.

Add-AppxPackage -register "C:\Program Files\WindowsApps\*WindowsStore*\AppxManifest.xml" -DisableDevelopmentMode

6. 다른건 이런 내용도 있었습니다.

C:\Windows\AUInstallAgent 폴더 생성

 

모든 Temp 폴더의 파일 삭제를 위해

실행창에 %Temp% 이렇게 입력하면 됩니다.

- C:\Windows\Temp

- C:\Users\사용자계정\AppData\Local\Temp

 

재부팅 후 어플 설치 재시도

결국엔 어떤것으로 된건지 모르겠으나 오류난 어플이 해결되었습니다.

다른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윈도우 스토어의 원노트?

윈도우 스토어에 있는 프그램을 받아보면 뭔가 이상함을 느낄겁니다.
그렇군요. 버전이 다르더군요.

개삽질을 ㅠㅠ


  OneDrive 다운로드

https://www.microsoft.com/ko-kr/microsoft-365/onedrive/download
위 마이크로소프트 정식 경로에서 최신 OneDrive를 받아주세요.

혹시 몰라 아래 실행파일을 첨부합니다.

(60Mb 분할압축 했어요.)

OneDriveSetup.zip.001
10.00MB
OneDriveSetup.zip.002
10.00MB
OneDriveSetup.zip.003
10.00MB
OneDriveSetup.zip.004
10.00MB
OneDriveSetup.zip.005
10.00MB
OneDriveSetup.zip.006
5.08MB



  OneNote 다운로드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2110341

정말 잘 쓰고 있는 원노트 입니다. 위 경로에서 OneNote를 받아주세요.

아래 실행파일을 첨부합니다.

(OneNote 첨부 : 2023-5-26 파일명:OfficeSetup.exe)

OfficeSetup.exe
7.17MB

처음에는 뭔 이런 이상한 노트가 있냐 하다가...

스티커 메모랑 환상 궁합으로 너무 잘쓰고 있는 원노트입니다.

  글자 입력중 커서가 있는곳의 글자가 다른곳으로 이동하거나 지워진다.

 

언제가 부터 예전부터 사용해 오던 프로그램에 글자를 입력하면 마지막 커서의 글자가 지워지거나

다른곳으로 이동하거나 하는 이상한 현상이 일어났다.

원하는 프로그램의 exe 실행파일에 subsystem 을 변경하면 되다는것을 알아 냈고

editbin 프로그램으로 일일이 명령어를 치기 귀찮아서 간단히 스크립을 만들었습니다.

 

첨부된 파일을 다운받아 editbin "abc.exe" /SUBSYSTEM:WINDOWS,5.01 이런식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수정한다.

하지만 힘들다.

editbin.zip
0.68MB


​1. 위 파일을 다운 받는다. 

2. C:\editbin  위치에 압축을 푼다.(중요 - 다른곳에 풀거면 레지스트리도 메모장으로 열어서 경로 바꿔주자.)

3. 서브시스템변경등록.reg 를 더블클릭 등록한다.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면 이제 명령어를 칠 필요없이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편리하게 실행할수 있습니다.


참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프로그램 실행하기로도 참고 할 수 있다.

  절전 모드를 해지하여 시스템에 있는 파일을 삭제합니다.

powercfg /h off


절전모드를 해제로 저는 약9G 정도 획득했네요.

물론 반대로 powercfg /h on 하면 절전모드용 파일이 생성됩니다.

  윈도우 administrator 계정 활성화 방법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

​띄어쓰기 잘보고 입력하자.

   사용자 계정 컨트롤을 알리지 않음으로 설정

  레지스트리 설정

하지만 완벽하지 않습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아래 링크 복사 후 레지스트리 편집기 붙여 넣기) 하여 최종적으로 설정을 해줘야합니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System

EnableLUA 를 0으로 설정

​또는 아래 파일 더블 클릭 레지스트리 병합합니다.

EnableLUA.reg
0.00MB

왼쪽 메뉴 익스텐션(확장) 누름,
또는 단축키 Ctrl + Shift + x

​상단 검색창에 korean 검색

Korean Language Pack for Visual Studio Code
Microsoft

​설치

  Windows 보안 열기 창 안 열림 현상 수정 방법

1. Windows PowerShell (관리자) 실행

​2. 다음을 입력해주세요.

Get-AppxPackage Microsoft.SecHealthUI -AllUsers | Reset-AppxPackage

 

패키지가 리셋됩니다.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IRST) 드라이버 설치 방법

1. 일반 USB에 첨부파일 압축 해제 후 복사.

 

2. USB를 꼽고 부팅

3. 윈도우 설치 중 디스크 인식 부분에서 USB에 들어있는 드라이버를 인식 시킴.

RST_V19.1.0.1001_PV.zip
1.56MB

  윈도우11 설치시 와이파이, 네트워크가 없어 네트워크 연결없이 설치하기.

로컬 계정으로 생성하려고 했더니 버튼이 없다.



  Shift키 + F10

콘솔창에 입력
  OOBE\BYPASSNRO

​재부팅

   레지스트리 위치 (레지스트리 편집기 상단에 붙여 넣기)


컴퓨터\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시작 앱 설정
설정 > 앱 > 시작 프로그램  > 켬/끔

   시작 프로그램  폴더의 항목
실행 >  shell:startup > 엔터

   작업스케줄러에 의해 실행되는 항목
실행 > control schedtasks > 관련 항목 삭제
(시작 > Windows Tools > 작업 스케줄러 )

4가지 모두 둘러보자.
서비스로 실행되는것은 찾아 수동으로 변경.

+ Recent posts